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 어떤 시기의 모든 주식을 10년간 분석해 보면 6개월 후 평균 6.7% 상승했다. 그렇다고 6개월마다 6.7%의 복리 수익을 얻는다는 말은 아니다. 이 산술 평균을 기본으로 변동성이 클수록 반복 투자의 수익률, 즉 기하 평균은 떨어진다. N건의 투자 결과에서 산술 평균은 이들을 모두 동시에 투자했을 때 얻는 건당 수익이고, 기하 평균은 이들을 모두 순차적으로 투자했을 때 얻는 건당 수익이다. 기하 수익은 이런 경우의 건당 복리수익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하 수익은 이런 경우의 건당 복리 수익이라고 말할 수 있다. N개 수의 산술 평균은 이들을 모두 더한 값에 N을 나눈 것이고, 기하 평균은 이들을 모두 곱한 후 N거듭제곱근을 씌운 것이다. 예를 들어 2와 18의 산술 평균은 10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