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꿀팁

은행 대출 상환방식 알기쉬운 나만의 정리법.! <원금균등vs원리금균등 or 만기일시상환>

EZdaily 2025. 4. 2. 14:37
반응형

대출을 알아볼 때 은행과 금리 그리고 상환방식이 있다.

은행과 금리는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지만 상환방식에서 머리를 좀 썼던 기억에, 

상환방식을 정리해 봤다. 

내가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모두가 이해하기 쉬울거라 생각한다.

 

먼저 용어 설명을 하자면,

 

<원리금균등상환>

원금+이자를 합쳐 원리금이라 부르는걸 기억하면 이해하기 쉬워진다.

정해진 기간동안 원금이자액, 즉 원리금균등하게 나눠서 상환하는 방식이다.

매달 똑같은 돈을 갚는 다는 특징이 있지만, 초반에는 이자비율이 높게 후반에는 원금비율이 높게 측정된다.

그래프로 보면 알기가 더 쉽다.

 

 

 

<원금균등상환(원리금체감)>

원금균등 상환방식은 만기일까지 원금만 균등하게 나눈 후 매월 원리금의 이자를 합산하여 상환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초기에는 원리금이 큰 만큼 이자도 크기 때문에 상환하는 금액이 크다.

하지만 후반에 갈 수록 이자가 줄어들어 원리금 전체금액은 줄게 되어 부담이 적어진다.

그래서 원리금 균등상환방식 보단 전체 이자비용이 적게 나간다는 장점이 있다.

 

 

<만기일시상환>

 만기일시상환은 말 그대로, 대출기간내내 이자만 갚다가 대출 만기시점에 원금 전체를 일시상환하는 방법이다.

대출기간에는 이자만 내기 때문에 부담이 적지만, 만기시 원금을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자금을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각각의 상환방식에는 특징과 장단점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무엇이 좋다기 보다는

지금의 상황과 미래의 소득의 정도를 고려하여 상환방식을 선택한다면 자금 흐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