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7

주식 투자의 유용한 힌트들

재무제표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산 상태와 비즈니스의 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료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 공시 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 모든 상장 기업의 재무제표를 열람할 수 있다. 모든 상장 기업은 매 분기 종료일로부터 45일 이내에, 연말 결산일로부터는 90일 이내에, 이곳에 재무제표를 의무적으로 올려야 한다. 어떤 기업에 투자하기 전에는 적어도 재무제표를 간단한 수준에서는 보아야 한다. 시가 총액도 물론 살필 줄 알아야 한다. (주식 초보들은 주가를 보는 게 다인 경우가 많은데, 주가는 100만 원인 든 500원이든 별로 의미가 없다.) 재무제표를 간단한 수준에서 보는 것은 전혀 어렵지 않다. 현재 기업의 재산이 얼마이고, 빚은 얼마이며, 빚을 제외한 순수 ..

주식투자관련 2020.05.23

강한 주식이 계속 갈까?

작년에 가장 많이 오른 주식들은 올해는 어떨까? 두 가지로 추측해보자면, 1. 작년에 많이 올랐으니 올해는 조정할 것이다. 2. 작년에 받은 상승의 에너지가 올해도 계속될 것이다. 많이 오른 주식이 더 오를 것인가?? 아니면 덜 오른 주식이 더 오를 것인가? 이 질문에는 세 가지 상반된 결론이 존재한다. 콴트와 맬키엘의 실험에 의하면 최근 2-3년 동안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주식들이 다음 기간에 단지 시장 평균 수익률을 보여 최근의 수익률은 별다른 의미가 없다. 드본트와 탈러의 실험에 의하면 1926년부터 82년까지의 미국 주식을 대상으로 지난 3년간 수익률을 기준으로 승자와 패자로 구분한 다음, 이후 3년간의 수익률을 비교하니, 패자 쪽은 평균 19.6%의 상승을 보인 반면, 승자 쪽은 오히려 ..

주식투자관련 2020.05.20

연매출액 비율(PSR)

PSR은 시가 총액을 1년 매출 총액으로 나눈 것이다. 매출액과 시가 총액의 비율이 수익률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사실을 아는 투자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보통은 이익이 중요하지 매출액이 왜 중요한가 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익의 진폭이 매출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매출액이 큰 회사들은 업황이 나빠 매출액 이익률이 별로 높지 않을 때는 이익이 크지 않다가 업황이 개선되어 매출액 이익률이 높아지면 이익 상승의 폭이 커진다. 즉, 이익률에 따른 이익의 레버리지가 커진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매출액이 시가 총액의 10배라 해보자. 이 회사의 매출액 이익률이 0.5%이면 PER은 20이 된다. 아주 빠듯하게 이익을 내는 상태다. 업황이 좋아져서 매출액 이익률이 2%로 올랐다 해보면, 매출액 이익률 2%라..

주식투자관련 2020.05.19

순이익 (PER)

PER은 시가 총액을 1년 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회사가 몇 년을 벌면 시가 총액만큼의 재산을 늘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PER이 5이면 5년만 벌면 시가 총액만큼의 재산이 더 늘어난다는 것이다. 즉, 지난 1년 동안 시가 총액의 20%만큼 순익을 냈다는 것이다. PER이 낮으면 현재 주가가 회사의 실력에 비해 낮게 평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PER이 낮은 회사들 중에는 다른 항목들을 보면 낮아야 할 합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도 많다. 유동 부채가 지나치게 많다거나 영업 이익은 낮은데 1회성 처분 이익으로 인해 순익이 높아졌거나 등등, 반면, 정당한 이유 없이 낮게 평가된 경우도 많다. 주가가 항상 PER 5 근처에 있다면 회사의 장부 가치가 시가 총액 기준 매년 20% 정도씩 높아지는 셈이다. 현..

주식투자관련 2020.05.15

십분위 실험

이번에는 매년 PBR값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로 각각 10개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고 할 때 각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을 살펴본다. 2000년 4월부터 2012년 3월 말까지가 실험 대상이다. 앞에서도 이야기한 바 있지만 시작 시점이 4월인 이유는 3월 말이 되어야 전년 재무제표가 다 공개되기 때문이다. 측정 시점에 자본 잠식 상태가 되어 PBR이 마이너스인 회사는 제외하였다. 전반적으로 PBR이 낮은 그룹들의 수익률이 높고 PBR이 높은 그룹들의 수익률이 낮다. PBR하나만으로도 수익률에 대해 아주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주식시장처럼 노이즈가 많은 곳에서 단순히 PBR하나만으로 구분한 10개 그룹의 수익률이 저명한 것은 놀랍다. 최저 PBR 그룹과 최고 PBR그룹은 연평균 ..

주식투자관련 2020.05.14

재무제표의 투자 성과(2부)

재무제표의 투자 실험에서 관심을 갖는 기간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12년 동안이다. 우리나라에서 분기별로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를 발표하게 된 것이 2000년부터이기 때문이다. 현금 흐름표는 2003년부터 분기별로 제공되기 시작했다. 여기서 나타내는 지표들은 해당 시점에 공개된 데이터 중 최근 4분기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관찰 기간 중 앞부분은 최근 4분기의 분기별 재무제표가 존재하지 않는 시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데이터를 최대한 보정해서 최근 4분기 효과가 나도록 했다. 관찰 기간이 2000년부터 12년간인데 최근 1년 재무제표를 보아야 하고 향후 1년간의 주가 상승폭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1999년 초부터 2012년 말까지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장부 가치 PBR은 회사의 장부 가..

주식투자관련 2020.05.13

재무제표 표준 국제 기준 변경

2011년부터 우리나라의 재무제표 표준이 IFRS로 바뀌었는데, 우선 시총 2조 이상인 기업은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고, 나머지 기업들도 2-13년 말부터는 다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 새로운 IFRS는 우리나라 회계 시스템의 근간을 바꿀 정도로 강력하고 다양한 변화를 초래한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연결 재무제표가 주 재무제표가 된 것이다. 연결 재무제표는 ㄴ자회사까지 모두 합쳐서 작성하는 재무제표다. 이로 인해서 자산과 부채의 산정 방법이 달라진다. 기존에는 자회사의 시가 총액 중 지분 만큼이 자산으로 반영되었으나, 이제는 자회사의 자산과 부채가 100% 반영된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자회사에 대한 지분에 비례해서 자산과 부채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그냥 100% 반영된다는 것이다. 대..

주식투자관련 2020.05.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