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 3

연매출액 비율(PSR)

PSR은 시가 총액을 1년 매출 총액으로 나눈 것이다. 매출액과 시가 총액의 비율이 수익률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사실을 아는 투자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보통은 이익이 중요하지 매출액이 왜 중요한가 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익의 진폭이 매출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매출액이 큰 회사들은 업황이 나빠 매출액 이익률이 별로 높지 않을 때는 이익이 크지 않다가 업황이 개선되어 매출액 이익률이 높아지면 이익 상승의 폭이 커진다. 즉, 이익률에 따른 이익의 레버리지가 커진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매출액이 시가 총액의 10배라 해보자. 이 회사의 매출액 이익률이 0.5%이면 PER은 20이 된다. 아주 빠듯하게 이익을 내는 상태다. 업황이 좋아져서 매출액 이익률이 2%로 올랐다 해보면, 매출액 이익률 2%라..

주식투자관련 2020.05.19

영업 이익(POR)

POR은 시가 총액을 영업 이익으로 나눈 것이다. 영업 이익은 순이익의 품질을 평가하는 좋은 보조 지표가 된다. 실험 결과는 이것이 오히려 순이익보다 더 변별력이 있었다. 2000년부터 12년간 우리나라 모든 상장 기업들의 POR값이 양수였던 경우의 역사적인 중앙값은 8.1이다. PRO값이 마이너스인 것은 저 POR주도 고 POR주도 아니므로 제외하였다. 또 1년 영업자본 총계의 1% 미만인 회사가 고 POR 주로 분류되는 것도 피하기 위해 이들도 배제하였다. 이 시기에 POR 8 미만인 경우와 POR 8 이상인 경우의 1년 후 평균 상승폭을 살펴보자.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 공히 단 한 해도 POR8이상인 주식들이 POR8 미만인 주식들보다 좋았던 적이 없었다. 앞의 PBR, PER, PCR의 경우도 ..

주식투자관련 2020.05.18

매출 이익(EBITDA)

매출 총액에서 매출 원가를 빼면 매출 이익이 된다. 매출 원가에는 여러 항목이 포함되는데 감가상각액도 포함된다. 생산을 위한 공장 건물이나 설비에 투자한 비용은 건설 당시에 지출되지만 당해에 다 비용으로 반영되지 않는다. 대신 오랜 기간에 걸쳐 나누어 해마다 일부가 반영된다. 보통 매출 원가는 포괄적으로 기재하기 때문에 손익 계산서에는 감가상각이 명시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대신 영업 현금 흐름에서 순이익에 감가상각액을 더해 준다. 실제로 지출되지는 않았지만 비용으로 산정했기 때문에 그만큼 현금 흐름에 더해주는 것이다.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을 뜻하는 것이므로 대략 영업 이익에 감가상각액을 더한 값이다. 이 지표의 목적은 금융 활동이나 감가상각의 영향을 배제하고 순수 영업..

주식투자관련 2020.05.17
반응형